top of page

3·1운동 100주년 기념 학술회의 및 음악회

행사 보고

11월 9일 오후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는 3·1운동 100주년 기념 학술회의 및 음악회를 개최했습니다. 주제는 “1919년 보성전문, 시대·사회·문화”였습니다.

독립운동사·사회문화사·국제정치사 등의 시각에서 3·1운동의 의미는 그야말로 묵직한 사건이며, 그 중심부에 보성전문학교가 있었습니다. 1910년 이래 普專 경영자 손병희는 민족대표 33인을 대표했고, 독립선언서는 보성사(보전 부속출판사)에서 인쇄했으며, 3월 1일 탑골공원에서 시위를 주도한 학생대표 강기덕은 普專 법과 재학생이었고, 普專 교장 윤익선은 ‘조선독립신문’을 제작하여 3·1운동의 뜻을 대중 속에 전파했습니다. 3·1운동 이후 민족대표를 포함하여 주도자 48명에 대한 재판 과정에서 허헌 변호사(普專 법과 제1회 졸업자)는 1심을 승소로 이끄는 등 스타로 이름을 떨쳤습니다. 1920년 普專 졸업생은 11명에 불과했는데, 많은 학생들이 3·1운동으로 인해 퇴학·구속당한 결과였습니다. 100년 전 普專은 3·1운동을 위한 에너지의 원천이었습니다. 普專의 역사를 이은 고려대학교가 오늘날 3·1운동을 각별하게 기념해야 할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지난 11월 9일 3·1운동 100주년 기념 행사는 학술회의와 음악회로 나누어 진행되었습니다. 이 행사는 고려대학교의 유구한 역사를 학술적·객관적으로 조명하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학술회의의 주제는 인문·사회과학을 넘어 건축·음악에 이르는 예술 분야까지 확장되어 진행되었습니다. 학술회의의 주된 흐름을 정리하면 대강 이러합니다. 첫째, 3·1운동의 가장 큰 배경으로서 국제정치적 시각을 관찰하고 3·1운동의 원인·결과와 관련하여 헌법 내지 공법적 의미를 검토했습니다. 둘째, 3·1운동 시대 고등교육제도 일반을 검토하고 그 토대 위에서 보성전문학교의 교육체제를 사료를 발굴하면서 관찰했습니다. 셋째, 3·1운동 시대 보성전문에서 이루어진 교육 내용을 법학, 경영·경제학의 분야에서 검토했습니다. 넷째, 3·1운동 시대에서 역사적 의미를 가지는 특별한 분야로서 미디어, 건축, 음악을 선정하여 당시 보성전문이 담당한 각별한 역할을 학술적으로 논증했습니다.

위 학술발표 중 특히 음악 분야의 논문은 특별한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습니다. 지금까지 보성전문학교와 음악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전혀 없었습니다. 보성전문과 고려대학교에 음악 관련 학과가 없었던 것이 주된 이유였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한국 음악학의 대가인 민경찬 교수(한국예술종합학교 소속)에게 발제를 부탁한 결과, 보성전문이 우리나라 창작동요 탄생의 주인공이라는 사실, 보성전문 법과 졸업생 유석조(庾錫祚)의 음악사에 빛나는 창작활동 등 새롭고 흥미로운 사실들이 많이 밝혀졌습니다.

그 중에는 仁村 金性洙 선생님께서 1920년대에 창가활동을 하셨다는 사실도 있습니다. 그 시기는 仁村 선생님께서 보성전문과 인연을 맺기 전입니다. 1921년 국내에서 󰡔東西偉人唱歌󰡕라는 창가집을 출간했는데 엄혹한 시기에 그 안에는 이순신 장군을 찬양하는 창가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이태진 명예교수(서울대)는 당시 이순신 장군을 말한다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고 평가하였답니다. “이순신”이라는 노래의 가사는 아래와 같습니다.

장하도다 이순신의 높은 지혜여 / 전 세계가 암흑하여 혼돈할 시에

철갑으로 거북선을 처음지어서 / 온 천하에 군함제조 모험되었네

망망대해 풍파 상에 꺼릴 것 없고 / 왕래 상에 사용함이 편리하도다

조선의 이순신은 해군에 으뜸 / 그의 지은 철갑선은 군함에 원조

서양의 영길리(英吉利)도 처음 발명해 / 넬손으로 해군대장 삼아있도다

군함을 새로 짓고 해전(海戰)할 때에 / 이순신의 철갑선을 원조를 삼네

장하도다 그 성공이 아름다워서 / 삼백여년 옛 사업을 오늘까지도

그 성명과 그 성공이 아울러 살아 / 영원토록 오래도록 전해 오도다

음악에 관한 의미있는 연구 결과를 고려대학교를 사랑하는 분들과 공유하고자 민경찬 교수의 논문 ‘맺음말’ 부분을 아래에 옮겨봅니다.

보성전문학교와 한국 근대음악과의 관련한 연구는 아직 없다. 그렇지만 본문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3·1운동의 영향으로 전개된 ‘동요운동’과 ‘한국동요’라는 새로운 장르의 근

대 노래 탄생 그리고 노래를 통한 계몽활동과 구국활동 등에 보성전문학교 출신들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런 한편, 보성전문학교 출신들이 관여한 적지 않은 노래들이

독립운동의 현장에서 독립군가와 독립운동가 등으로 불렸고, 만주에 설립된 민족학교의 교재로도 사용되었고 또 항일노래로도 불렸다. 이외에도 우리가 몰라서 그렇지 보성전

문학교와 그 출신들이 한국근대음악사에 끼친 영향을 매우 클 것으로 사료된다.

본 글은, 보성전문학교와 한국근대음악과의 관련한 연구가 가능하고 또 의미가 있는 지의 여부를 타진해 보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출발을 하였다. 즉, 관련 연구의 완성이라기 보다는 시작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그 답은 ‘반드시 해야 할 연구’라는 것이다. 지금까지 숨겨져 있던 보성전문학교 출신들의 제반 음악활동이 밝혀진다면 한국 근대음악사가 다시 쓰여야 할 정도로 중요하기 때문이다.

본 글의 ‘들어가는 말’에서 “천도교 소년운동 만세! 어린이 3‧1운동 만세! 어린이 해방운동 만세! 그리고 小波·小春 만세!”(小波와 小春은 각각 방정환(보성전문 법과 1918학번)

과 김기전(보성전문 법과 1913학번의 호)라는 윤석중 선생의 글을 인용하였다. 그런데 윤석중 선생은 小波와 小春 선생을 비롯하여 이 운동을 주도한 사람 중 상당수가 보성

전문학교 출신이라는 점을 몰랐을 것이다. 알았다면 이렇게 기록했을 것이다.

“천도교 소년운동 만세! 어린이 3‧1운동 만세! 어린이 해방운동 만세! 小波·小春 만세! 그리고 보성전문학교 만세!”

위 학술회의에 이어진 음악회(주제: “3·1운동 시대, 보성전문, 천도교, 음악”)에서는 민경찬 교수가 발굴한 음악 중 ‘이순신’을 포함하여 8곡을 선정하여 전문 성악가가 연주를 했습니다. 일제강점기 그 암울한 시대에도 민족의 영웅들을 일깨우며 미래를 기약한 선현들의 용기와 노고가 깊은 감명을 주는 시간이었습니다. 한국 음악사의 그 자랑스런 부분에 고려대학교가 선명하게 새겨져 있다는 사실 또한 감동이었습니다.

위 행사는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坡岸연구기금(대하장학회 명위진 이사장 기부)이 주관하고, 仁星연구기금(고려대학교 상학 57학번 유휘성 회장 기부) 및 고려대학교 법대교우회(회장: 이승재)의 후원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학문과 문화 발전에 기여해 주신 두 분 회장님과 이승재 교우회장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11월 9일 행사는 고려대학교 교육매체실에서 전 과정을 녹화하여 영상 기록으로 남겼습니다. 그리고 10개의 발표문은 논문 형식으로 정리한 후 내년 󰡔坡岸硏究叢書 공감 제3권󰡕으로 출간할 예정입니다.

이번 행사를 통하여 “역사는 인식하는 사람들의 것”이라는 생각을 더욱 깊이 새기게 되었습니다. 3·1운동 100주년의 시기에 고려대학교의 빛나는 역사의 일 단면을 조망한 것에 대하여 매우 뿌듯하게 생각합니다.

위와 같이 11월 9일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이 주최하고 坡岸연구기금이 주관하여 진행된 3·1운동 100주년 기념 학술회의 및 음악회를 보고 드립니다.

2019년 11월 15일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坡岸연구기금 기획운영위원장

명 순 구

아래 [첨부]에서 관련 음악회 팸플릿과 자료집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bottom of page